반응형
직장 생활을 시작하면서 드는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자산 형성'이죠. 매달 들어오는 급여로는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오늘은 청년들의 든든한 자산 형성 파트너가 되어줄 '청년 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 내일저축계좌란?
정부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통장으로, 본인이 저축한 금액에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더해주는 혁신적인 금융 상품입니다. 3년 만기 시 최대 1,440만원까지 모을 수 있어 청년들의 미래 설계에 큰 도움이 됩니다.
2. 청년 내일저축계좌 가입자격 및 조건
1) 나이 조건
- 신청 당시 만 19세~만 34세
- 신청 월의 전월에 만 19세가 된 자 ~ 신청 월에 만 35세가 되는 자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자는 만 15세~만 39세까지 허용
- 신청 월의 전월에 만 15세가 된 자 ~ 신청 월에 만 40세가 되는 자
2) 소득 조건
- 근로·사업소득: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 월 230만원 이하
- 단,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 10만원 이상 발생
3) 가구소득 조건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2024년도 및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연도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2024년 | 222만 8,445원 | 368만 2,609원 | 471만 4,657원 | 572만 9,913원 | 669만 5,735원 | 761만 8,369원 |
2025년 | 239만 2,013원 | 393만 2,658원 | 502만 5,353원 | 609만 7,773원 | 710만 8,192원 | 806만 4,805원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배율표>
배율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50%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60% | 1,435,208 | 2,359,595 | 3,015,212 | 3,658,664 | 4,264,915 | 4,838,883 |
70% | 1,674,409 | 2,752,861 | 3,517,747 | 4,268,441 | 4,975,733 | 5,645,364 |
80% | 1,913,610 | 3,146,126 | 4,020,282 | 4,878,218 | 5,686,554 | 6,451,844 |
100%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120% | 2,870,416 | 4,719,190 | 6,030,424 | 7,317,328 | 8,529,830 | 9,677,766 |
150% | 3,588,020 | 5,898,987 | 7,538,030 | 9,146,660 | 10,662,288 | 12,097,208 |
180% | 4,305,623 | 7,078,784 | 9,045,635 | 10,975,991 | 12,794,746 | 14,516,649 |
3. 신청 방법
1) 신청 준비물
- 신분증, 소득증빙서류, 가족관계증명서 등
2)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접수
-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경로: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저소득층 > 자산형성지원(청년내일저축계좌)
3) 신청 기간
- 매년 5월 중 신청
4) 주소지 제한
- 주소지가 아니더라도 동일 시·군·구 내 모든 주민센터에서 접수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 제출서류 안내문.hwp
0.08MB
4. 신청 처리 절차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 주민센터 및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2)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 주민센터에서 심사 진행
3) 대상자 확정
- 시·군·구에서 지급 대상자 결정
4) 서비스 지원
-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 지급
5) 서비스 사후 관리
- 시·군·구에서 대상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리
5. 주요 지원 내용
1) 매칭 지원금
-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본인 저축액 10만원 이상 대비 10만원 정액 매칭
- 중위소득 50% 이하: 본인 저축액 10만원 이상 대비 30만원 정액 매칭
2) 조건 충족 시 지급
- 3년간 통장 유지
- 근로활동 지속
- 자립역량교육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3) 추가 지원금
- 근로소득공제금(생계급여 수급 청년),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4) 주의사항
- 가입자는 매월 본인적립금 납입 일정에, 본인적금 계좌로 10만원 이상 저축
- 납입 일정 준수: 전월 23일(휴일인 경우 익 영업일까지) ~ 당월 22일까지(휴일인 경우 익 영업일까지)
- 납입일 내 입금하지 않으면, 해당 월의 정부지원금 미적립
- 누적 12회 이상 미납할 경우, 해지 사유 발생
- 납입이 어려운 경우 "적립중지제도" 활용 가능
6. 적립중지 및 해지 사유
1) 적립중지제도
- 신청 가능 사유: 실직, 본인/부양가족 질병, 사고 등 부득이한 상황
- 이용 기간: 사업 참여 기간(3년) 중 누적 6개월
- 유의사항
- 적립중지 기간 중 본인적립금 납입 불가, 통장 만기일 연장 안됨
- 근로소득장려금 및 추가지원금 지급 중단
2) 특별적립중지 제도
- 대상: 군 입대자, 임신/출산으로 인한 퇴직자, 육아휴직 중인 가입자
- 기간: 최대 2년
3) 해지 사유
- 본인적립금을 누적 12회 이상 미납할 경우
- 지자체 확인조사에서 근로활동이 없을 시
- 가입자의 요청에 의한 중도해지
- 교육이수 기준 미달
- 3년간 통장 유지 요건 미충족 시
4) 주의 사항
- 중도해지 시 정부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으며, 본인이 납입한 금액 + 이자만 반환
7. FAQ
Q1.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매년 일정 기간 동안 신청이 가능하며, 정확한 일정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소득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신청할 수 없나요?
- 네, 소득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신청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기준 변경 시기를 고려하여 재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중도해지 시에도 일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 중도해지 사유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반응형